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생활인 링어입니다.
최근에 디파이(Defi)라 불리는 탈중앙화금융 플랫폼을 통해 코인을 예치하여 소위 이자농사(코인의 개수를 늘리는 것)를 짓는 투자자가 많아졌습니다.
작년과 같은 대상승장의 경우에는 매매를 통해 수익을 올리는 것이 훨씬 쉽고 큰 금액을 벌어들일 수 있었습니다만, 요즘과 같이 하락과 횡보를 반복하는 시장에서는 코인의 보유 개수라도 늘리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코인을 예치하는 방법에는 단일예치(단일 코인을 예치하는 방법)와 페어예치(두 종류의 코인을 1:1의 비율로 예치하는 방법)이 있는데 다양한 유동성 공급에 대한 유인 때문인지 대부분의 플랫폼이 페어예치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자율도 페어예치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가령 클레이스왑(KSP) 코인을 단일예치한다면 시간이 지날수록 클레이스왑의 수량이 늘어날 것입니다.
다만, 이때에도 클레이스왑의 가격이 하락한다면 그만큼의 손실이 생깁니다. 그러므로 가격하락분 이상의 수량증가분이 발생해야만 투자자는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최상의 경우 가격까지 상승해버린다면 수량증가분 뿐 아니라 가격상승분의 이익까지 얻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페어예치에서는 어떨까요?
클레이스왑과 클레이튼(KLAY)을 폐어예치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두 종류의 코인을 1:1의 비율로 예치해야하므로 같은 금액의 코인을 예치(가령, 클레이스왑 100불+클레이튼 100불)하게 될 것입니다.
예치를 한 뒤 이자농사를 짓는데 클레이스왑의 가격이 상승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기분이 매우 좋을 것입니다.

하지만 방심은 금물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두 종류의 코인 금액의 비율이 1:1이 되어야 하므로 가격이 올라버린 클레이스왑의 수량이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아진 클레이튼의 수량이 늘어납니다. 이 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하는데 이를 비영구적손실(Impermanent Loss)이라고 부릅니다. 결과적으로 이익이 발생은 하지만 코인 상승분보다는 조금 덜 발생하는 것입니다.
클레이스왑의 가격이 하락하면 어떨까요? 기분이 매우 슬플 것입니다.

하지만 역시나 방심은 금물입니다. 아직 바닥이 아닙니다. 추가적인 손실이 남아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두 종류의 코인 금액의 비율이 1:1이 되어야 하므로 가격이 내려버린 클레이스왑의 수량이 늘어나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아진 클레이튼의 수량이 늘어납니다. 이 과정에서 또한 비영구적손실이 발생합니다.
결과적으로 코인 하락으로 인하여 손실이 발생한데다가 추가적으로 비영구적 손실까지 얻게 되는 것입니다.
결국 글 제목처럼 올라도 (일정부분)손해, 내리면 더 손해인 상황이 발생하게 된 것입니다.
그렇다면 비영구적손실은 피할 수 없는 운명일까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두 종류의 코인이 같은 비율로 상승(하락)하거나 전혀 변동하지 않는다면 비영구적손실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런 경우는 흔치 않으니 페어예치 시에는 항상 비영구적 손실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입니다.
말로만 설명하였을 때에는 비영구적 손실이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없으니 비영구적 손실을 계산해주는 사이트를 소개해드리면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Impermanent Loss Calculator
Impermanent loss calculator for liquidity providers on Uniswap or other decentralized exchanges.
dailydefi.org
비영구적손실 계산기라는 사이트로 보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1. Initial Price에 예치 진입시 가격을 입력합니다.
2. Future Price에 변동된 현재 가격을 입력합니다.(화면에서는 한 종류의 코인이 하락한 것으로 입력하였습니다.)
3. 결과를 확인합니다 3.18퍼센트의 비영구적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표시됩니다. A코인의 하락분에 더하여 3.18퍼센트만큼의 추가 손실이 발생한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상황에 맞게 입력을 해주시면 비영구적 손실이 얼마나 발생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요긴하게 사용하시길 바라며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코인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마켓캡(Coinmarketcap): 모든 코인에 대한 정보를 쉽게 찾아보자 (1) | 2022.01.27 |
---|---|
스왑스캐너(Swapscanner): 필요한 코인을 최저가로 스왑하자 (2) | 2022.01.16 |
오르빗브릿지(ORBIT BRIDGE): 편리하게 다른 체인으로 코인을 전송하자 (1) | 2022.01.13 |
히로 월렛(Hiro Wallet): 스택스(STX)생태계 개인지갑을 만들자 (0) | 2021.12.26 |
메타마스크에 BSC네트워크 추가하기 (0) | 2021.12.25 |